해외선물 거래가 궁금하다면? 하루 23시간 열리는 시장의 거래시간과 주말 상황까지 알려드릴게요.
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해외선물, 제대로 파악해보세요.
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!
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
목차
해외선물 거래시간 기본
거래소 | 한국 시간 (비썸머타임) | 한국 시간 (썸머타임) | 대표 상품 | 일일 정규 휴장 |
CME | 07:00 - 06:00 | 06:00 - 05:00 | S&P 500, 나스닥 | 06:00 - 06:15 |
EUREX | 15:00 - 06:00 | 14:00 - 05:00 | DAX, 유로스톡스 | 없음 |
HKEX | 10:15 - 04:00 | 10:15 - 04:00 | 항셍 지수 | 13:00 - 14:00 등 |
해외선물은 거의 24시간 돌아가요. 국내 주식과 달리 해외선물은 하루 23시간 거래 가능한 게 특징이에요. CME 거래소는 미국 지수 선물 중심으로 한국 시간 기준 07:00부터 다음 날 06:00까지 열리는데, 썸머타임 땐 한 시간 앞당겨져요. 짧은 휴장 시간 빼면 거의 쉴 틈 없이 움직이죠.
썸머타임이 시간표를 바꿔요. 미국과 유럽 거래소는 썸머타임(3월 둘째 주 일요일 - 11월 첫째 주 일요일)에 따라 1시간씩 거래 시간이 조정돼요. 예를 들어 CME는 06:00 시작으로 바뀌고, EUREX도 14:00부터 열리죠. 이 시기엔 시간 잘 맞춰야 헷갈리지 않아요 :)
거래소마다 다 달라요. HKEX는 항셍 지수 거래로 유명한데, 썸머타임 없어도 13:00-14:00 브레이크 등 휴식 시간이 있어요. 반면 EUREX는 휴장 없이 밤늦게까지 이어지니까 유럽 지수 관심 있다면 밤샘 준비해야 할 수도 있죠.
실시간 확인이 필수예요. 해외선물은 시장이 워낙 빠르게 움직여서 실시간 시세 체크가 중요해요. 증권사 앱이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 보면서 거래 타이밍 잡으면 좋아요. 시간대 놓치면 손실 날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!
주말 해외선물 거래 가능성
구분 | 거래 가능 여부 | 운영 시간 | 제공처 | 특징 |
정규 거래소 | 불가능 | 토 06:00 - 월 07:00 휴장 | CME 등 | 공식 휴장 |
주말 선물 | 가능 | 토 06:00 - 월 07:00 | IG 등 사설 | 비공식 거래 |
정규 거래소는 주말에 닫혀요. CME 같은 주요 거래소는 토요일 06:00에 마감하고 월요일 07:00에 재개돼요. 이 약 49시간 동안은 공식 거래가 멈추죠. 주말에 큰 이슈 터져도 반영 안 되니까 월요일 갭 주의해야 해요.
주말 거래는 사설에서 가능해요. 영국 IG 같은 사설 플랫폼은 주말에도 다우존스 선물 거래를 제공해요. 토요일 06:00부터 월요일 07:00까지 열리는데, 정규 거래소와 연결은 안 되지만 투자 심리 반영엔 유용하죠 :)
실시간 움직임 확인할 수 있어요. 주말 선물은 실시간 시세로 주말 시장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어요. 월요일 정규장 시작 전에 참고 자료로 쓰기 좋아요. 다만 사설이라 리스크도 고려해야 해요.
한계도 분명 있어요. 사설 거래는 공식 거래소와 달라 유동성이 낮고, 실제 시장과 약간 다를 수 있어요. 참고용으로만 쓰고 과신은 금물이에요. 주말 큰 변동 예상되면 월요일 대비 잘하세요!
주요 상품별 거래시간
상품 | 거래소 | 비썸머타임 시간 | 썸머타임 시간 | 브레이크 타임 |
나스닥 100 | CME | 07:00 - 06:00 | 06:00 - 05:00 | 06:00 - 06:15 |
항셍 지수 | HKEX | 10:15 - 04:00 | 10:15 - 04:00 | 13:00 - 14:00 등 |
금 선물 | CME | 07:00 - 06:00 | 06:00 - 05:00 | 06:00 - 06:15 |
나스닥 100은 밤샘 거래예요. CME에서 거래되는 나스닥 100 선물은 한국 시간으로 07:00부터 다음 날 06:00까지 열리죠. 썸머타임 땐 06:00 시작으로 바뀌고, 매일 15분 휴장 있어요.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만큼 새벽에도 눈 뜨고 있어야 할 때가 많아요.
항셍 지수는 브레이크가 특징이에요. HKEX의 항셍 지수는 10:15부터 04:00까지 거래되는데, 중간에 13:00-14:00, 17:30-18:15 브레이크 타임 있어요. 썸머타임 영향 없지만 이 휴식 시간 때문에 타이밍 잘 맞춰야 해요 :)
금 선물도 비슷한 패턴이에요. 금 선물도 CME에서 나스닥과 같은 시간대인 07:00-06:00에 거래돼요. 썸머타임 적용 시 05:00에 끝나고, 짧은 휴장 후 다시 시작하죠. 금값 변동 크니까 실시간 모니터링 필수예요!
시간대 잘 챙겨야 해요. 상품마다 시간대 미묘하게 달라서 실시간 거래하려면 본인 스타일에 맞는 걸 골라야 해요. 밤늦게까지 깨어 있을 준비 되셨다면 이 시장 꽤 재밌을 거예요.
2025년 휴장일과 특이사항
날짜 | 휴장 사유 | 영향 거래소 | 특이사항 |
1월 1일 | 신정 | CME, EUREX | 전일 조기 마감 |
7월 4일 | 미국 독립기념일 | CME | 조기 마감 가능 |
12월 25일 | 크리스마스 | CME, EUREX | 전일 조기 마감 |
2025년 주요 휴장일 챙기세요. 신정(1월 1일)과 크리스마스(12월 25일)는 CME와 EUREX가 모두 닫혀요. 특히 전날은 조기 마감이라 실시간 거래 계획 세울 때 꼭 확인해야 해요. 휴일 전후로 변동성 커질 수 있죠.
미국 독립기념일도 주의점이에요. 7월 4일은 CME에서만 영향을 받고, 조기 마감 가능성 있어요. 나스닥이나 금 선물 거래한다면 이 날 시간 조정 잘해야 해요. 휴일 아닌 날도 대비 필요하죠 :)
특이사항 미리 체크하세요. 휴장 전날은 보통 거래량 줄고, 급등락 가능성도 커요.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포지션 정리하거나 조정하는 게 안전해요. 휴일 놓치면 손실 날 수도 있으니 달력에 표시해두세요!
계획 세우기 좋아요. 2025년 휴장일은 약 10일 정도 예상되는데, 사전에 알고 준비하면 거래 손실 줄일 수 있어요. 주말 거래랑 연계해서 보면 더 유리하죠. 미리미리 챙겨놓으세요 ;)
실시간 거래 팁
팁 | 내용 | 추천 시간대 | 도구 |
시세 확인 | 실시간 데이터 체크 | 22:00 - 02:00 | 증권사 앱 |
타이밍 | 미국 장 개장 전 | 05:00 - 07:00 | 차트 분석 |
리스크 관리 | 손절 설정 | 항상 | 거래 플랫폼 |
실시간 시세는 생명이에요. 해외선물은 변동성 크니까 22:00-02:00 미국 장 활발할 때 시세 확인 필수예요. 증권사 앱으로 실시간 데이터 보면서 움직임 파악하면 타이밍 잡기 쉬워요. 놓치면 손해 볼 수도 있으니 집중하세요!
타이밍 잘 맞춰야 해요. 미국 장 개장 전인 05:00-07:00은 시장 방향성 볼 때 좋아요. 차트 분석으로 추세 보면서 진입점 찾으면 성공률 올라가죠. 새벽이라 졸리겠지만 이 시간대가 중요해요 :)
리스크 관리 잊지 마세요. 언제든 손절 라인 설정해두면 큰 손실 막을 수 있어요. 거래 플랫폼에서 미리 설정해놓고,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계획대로 움직이세요. 이거 안 하면 후회할 수도 있어요!
도구 활용이 핵심이에요. 실시간 거래하려면 증권사 앱, 차트 툴 적극 써야 해요. 빠른 정보 파악이 승패 가르니까, 편리한 도구로 무장하고 뛰어들어보세요. 준비 잘하면 든든하죠 ;)
마무리 간단요약
- 23시간 열리는 시장. 해외선물은 거의 하루 종일 거래돼요.
- 주말은 사설만 가능. 정규 거래소 닫히면 IG 같은 곳 써야 해요.
- 시간대 상품마다 달라요. 나스닥, 항셍 확인 잘하세요.
- 2025년 휴장일 체크. 신정, 크리스마스 놓치지 말아요.
- 실시간이 핵심. 시세 놓치면 손실 나니까 챙겨요!
댓글